매일매일 힐링여행
주차장
장애인화장실(남녀구분)
추천화장실
일반화장실(남녀공용)
가파도는 제주도 대정읍 모슬포에서 남쪽으로 5.5㎞ 떨어져 있고 모슬포와 마라도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0.84㎢로 마라도보다 약 2.5배 더 크다. 이름은 가오리(가파리)를 닮아 가파도가 되었다는 설과, 덮개 모양을 닮아 '개도(蓋島)'로 부르던 것이 가파도라 굳어졌다는 설 등이 있다.
1653년 네덜란드의 선박 스펠웰호의 가파도 표착으로 그 배에 승선하고 있던 헨드릭 하멜이 고국으로 돌아간 뒤에 '난선 제주도 난파기와 조선 국기'를 저술하여 서양에서는 처음으로 우리나라를 소개했다. 현재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산방산 아래의 용머리해안 입구에는 "하멜의 표착기념비"가 있다.
자전거를 대여하는 방법도 있지만, 1-2시간이면 다 걸을 수 있어 도보로 둘러보는데 부담이 없다. 전에는 최남단 섬 마라도에 밀려 관광지로는 상대적으로 오지에 속하는 섬이었으나, 매년 4월 청보리 관광과 올레길이 조성되면서 하루에도 정기적으로 3-4회의 여객선이 왕복운항하는 섬이 되었다.
승선요금
가파도 터미널-> 장택코정자-> 고냉이돌-> 하동마을-> 가파도전화국-> 상동마을-> 선착장
* 청보리 시즌이 아닐때는 해안 둘레길을 여행하는 것도 관광약자 추천코스 중 하나이다.
운진항
승선장 및 선박 내 계단
가파도는 해안 둘레길과 내부 관통 탐방로(∞모양)를 따라 관광할 수 있다.
* 청보리축제 기간에는 선박표 예매가 쉽지않으므로 참조해야한다.
운진항에서 선박으로 약 10~15분정도 후에 도착한다. 하선장은 물때에 따라 높낮이가 다르므로 계단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선박이 가파도에 도착하여 상동항에 내릴 때 물때에 따라 계단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휠체어 이용 관광객은 선박이용이 매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일단, 가파도에 도착해서 하선 후에는, 섬 전체적으로 몇곳의 경사로를 제외하면, 접근성이 괜찮은 편이다. 가파도 터미널 내부에 장애인화장실이 있다.
해안 둘레길을 따라 이동하면 된다.
고냉이돌을 지나 좌측에 언덕길로 올라간다. 올라가면 한국남부발전이 있다.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고냉이돌의 언덕길이 7도 60m 정도이므로 접근성이 좋지않다. 좌측의 던덕길로 가지말고, 직진 이동하여 해안 둘레길을 계속하여 이용한다.
길을 따라 한국남부발전에서 우측으로 60m가량 이동 후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300m정도 이동하면 가파초등학교가 있으며, 좌측에 게르와 전망대가 있고, 여기서 150m정도 길을 따라 이동하면 갈림길이 나온다. 좌측은 상동(북쪽)이고 우측은 하동(남쪽)인데, 우측으로 이동한다.
한국남부발전 & 가파초등학교
가파초등학교 주변
6) 가파도 전화국
가파도 전화국 앞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길을 따라 직진 이동한다.
가파도 전화국 주변
가파도 전화국에서 550m정도 이동하면 개엄주리코지정자 가기전에 바로 11도 25m 정도의 내리막 경사로가 있다. 경사로 후에 갈림길에서 우측(남쪽)으로 이동한다.
보장구 이용자에게 위험하고, 매우 불편한 코스가 될 수 있다.
개엄주리코지정자 가는길과 주변
개엄주리코정자에서 820m정도를 이동하면 헬기장이 나온다. 해안 둘레길을 따라 이동하여 하동항까지 간다.
헬기장 주변
해안 둘레길을 따라 걸어가면(약640m) 하동항이 나온다. 가파리종합복지회관을 지나 삼거리에서 우측(북쪽)으로 이동하면 섬을 관통하여 상동마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삼거리 초입에 30m정도 오르막 경사로가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3) 고냉이돌에서 언덕으로 올라가지말고 해안 돌레길을 따라 직진 이동하고 하동포구 하동마을 삼거리에서(초입에 오르막 경사로 있음) 가파초등학교 방면으로 마을길을 따라 이동하는 코스를 추천한다.
가파리 종합복지관, 하동마을 삼거리, 고냉이돌 해안둘레길
하동마을을 지나, 가파초등학교 & 가파도 전화국을 지나 직진 이동, 상동마을을 지나가면 다시 가파도 터미널로 갈 수 있다.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해안 둘레길에서 들어서는 하동마을 삼거리 초입에 30m정도의 오르막 경사로가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하동마을에서 상동마을로 가는 길
가파도 터미널로 되돌아와 안내/시간에 따라 승선한다.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상황에 따라 승선높낮이가 상이하므로 참조/유의해야한다.
* 청보리 시즌이 아닐때는 해안 둘레길을 여행하는 것도 관광약자 추천코스 중 하나이다.
1) 화장실 위치 : 운진항 대합실 내 동쪽에 위치 (장애인 화장실 남,녀 구분)
운진항 대합실 내 화장실
장애인 화장실 남녀별도 사용가능 유무 | 남,녀 각각 장애인 화장실 있음 ● | |||
---|---|---|---|---|
장애인 화장실 출입문 유형 | 자동문 | |||
출입문 시각안내설비 | 있음(안내형태 : 점자) | |||
출입문 폭 / 턱 | 폭 88cm | 단차:없음 | ||
유효폭 | 대/소변기 ~ 출입문 120cm | 대/소변기~벽 30cm | ||
세정장치 | 광 감지 | 벽누름 | 바닥누름 | 기본레버● |
안전 손잡이 설치 | 대변기: 설치되어 있음● | 소변기: × | ||
비상시 사용도구 | 비상등: × | 비상호출벨: × | ||
세면대 | 높이81cm | 하부공간: 70cm |
2) 화장실 위치: 운진항 남쪽 승선실 내에 위치 장애인 화장실 없음
3) 화장실 위치 : 상동항(가파도터미널) 대합실 내에 위치 (장애인 화장실 남,녀 구분)
장애인 화장실 남녀별도 사용가능 유무 |
남,녀 각각 장애인 화장실 있음 ● |
|||
---|---|---|---|---|
장애인 화장실 출입문 유형 |
자동문 |
|||
출입문 시각안내설비 | 없음 | |||
출입문 폭 / 턱 | 폭 82cm | 단차:없음 | ||
유효폭 | 대/소변기 ~ 출입문 110cm | 대/소변기~벽 92cm | ||
세정장치 | 광 감지 | 벽누름 | 바닥누름 | 기본레버● |
안전 손잡이 설치 | 대변기: 설치되어 있음● | 소변기: × | ||
비상시 사용도구 | 비상등: × | 비상호출벨: × | ||
세면대 | 높이 80cm | 하부공간: 67cm |
가파도 터미널 내 화장실
4) 화장실 위치 : 하동포구 해녀의 집 옆에 위치 장애인 화장실 없음
하동포구 해녀의 집 옆 화장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