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힐링여행
장애인 주차장
주차장
장애인화장실(남녀구분)
추천화장실
기념품샵
24시 편의점
식당
수유실
제주민속촌은 제주의 문화유산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 19세기를 기준 연대로, 산촌, 중산간촌, 어촌, 토속신앙을 비롯하여 제주 영문과 유배소등을 구성한 민속 박물관으로 약 100여채에 달하는 전통가옥과 농기구, 가구, 생활용구등 약 8,000여점의 소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휠체어 이용자에게는 동반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관광지이다.
매표소 -> 산촌 -> 중산간촌 -> 어촌 -> 토속신앙촌 4거리 -> 제주 영문 -> 영문 부속실-> 농기구전시관 -> 매표소 -> 주차장
제주 민속촌
제주 민속촌내 물허벅, 흑돼지
제주민속촌은 테마별 관람코스로 구성되어 있음.
제주민속촌은 야외관람로 형태의 테마별 코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작점은 아스콘, 주 통행로는 시멘트 포장길, 관람로는 석분으로 되어 있다.
주차장 맞은편에 위치하며 오른쪽에 매표소와 안내도가 설치되어있다.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주차장 맞은편에 위치 경사 7도 길이 1m정도의 오르막 경사로를 지나 출입구로 이동한다. 출입구의 경사 5도, 길이 1m의 오르막 경사로 지나 다시 경사 5도, 길이 1m의 내리막 경사로를 지나서 관람로 이동. 출입구에서 왼쪽 기사휴게소 뒤쪽에 장애인 화장실 있음.
출입구(검표소)와 안내도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관람로 통행로는 아스콘으로 되어있으며, 통행로 왼쪽에 인공폭포가 있고 계속 진행하면 갈림길 오른쪽에 휴게공간이 있다. 주 통행로를 따라 오른쪽의 산촌으로 관람지 이동.
산촌 관람로는 막살이집, 목축인의 집, 사냥꾼의집, 외기둥집, 통시(제주 전통화장실), 미로동산, 목공예방 등이 있고 이 곳에 대장금 촬영장소가 있다.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산촌 관람로의 노면은 석분으로 요철이 있고 산촌을 나와 주 통행로로 이동을 하면 경사 3도, 길이 50m정도의 오르막 경사로가 있다. 이후 갈림길이 나오며 오른쪽으로는 돌하르방 2기가 있으며 그 뒤로 동백,수국등으로 구성된 미로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미로 공원까지 노면은 평평한 판석과 시멘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사 3도, 길이 25m 정도의 오르막으로 되어 있다. 미로공원의 소요시간은 10~15분 정도이며, 노면은 석분과 송이자갈길로 되어 있다. 계속 이동하면 중산간촌으로 갈 수 있음.
산촌입구(화장실 있으나 장애인 화장실 없음)
중산간촌은 한라산 중산간 600m 고지 이상되는 곳에 형성된 마을을 뜻하는데 이곳에는 종갓집, 토호가, 서당, 유배소, 한약방, 남부농가, 체험가옥, 연대, 도자기공예방등이 있음.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토호가 ( 화장실-장애인 화장실 있음)
어촌 관람로는 해녀의집, 어부의집, 광령물통, 낙화 혁필공예방등의 볼거리가 있음.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관람로로 계속 이동하면 왼쪽은 연대, 오른쪽은 대장금 촬영장소. 입구에 돌턱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계속 이동하면 갈림길에서 왼쪽에는 테우가 있고, 오른쪽에는 장터로 이어지는 관람로가 있다. 장터의 관람로에서 왼쪽은 민속장터로 가는 지름길이고, 오른쪽의 경사 5도, 길이 25m 정도의 오르막 경사로가 있으며, 지나서 왼쪽으로 가는 관람로도 역시 장터로 가는 둘레길 관람로.
대장금 촬영장소
어촌 마을에서 장터로 가는 둘레길 관람로는 어구전시관, 수석전시관, 옹기전시관을 경유하여 제주 영문으로 이어지는 관람로. 어구 전시관 도착 전 화장실 있음(장애인 화장실, 남녀구분됨)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장터앞 관람로로 이동하면 경사 3~5도의 25m정도의 오르막 내리막 경사로를 지나 제주 영문으로 이어지는 관람로.
심방집, 점집, 본향당,포제단, 소원첩등의 관람거리가 있음.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노면이 돌바닥과 자갈길로 되어있어 휠체어 이용자는 주의를 요함.
토속신앙촌 정면으로 계속 진행하면 작은 억새동산.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이곳은 노면이 커다란 돌부리들과 잔디길로 되어 있어 휠체어 이용자들은 주의를 요함.
관람로를 따라 이동하면 제주 영문으로 이어지며 영문 정문에 돌하르방이 있는 곳으로 출입.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관람로 입구의 노면은 석분이며, 영문 입구 경사 12도, 길이 4m 정도의 오르막 경사로가 있어 수동휠체어의 경우 동반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함.
10) 제주영문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면 돌문화전시장, 호꼴락 동물원, 드라마세트장, 동안문등이 있고, 왼쪽으로 옥(감옥)과 농기구 전시관이 있다. 계속 진행 하면 주차장으로 나올 수 있다.
보장구 이용자 접근성 및 주의사항 : 왼쪽으로 영월정이 있는데 이곳은 돌길과 계단으로 되어 있어 휠체어 이용자에게는 비추천 코스이다.
영월정
매표소 -> 산촌 -> 중산간촌 -> 어촌 -> 토속신앙촌 4거리 -> 제주 영문 -> 영문 부속실-> 농기구전시관 -> 매표소 -> 주차장
장애인 화장실 남녀별도 사용가능 유무 | 남,녀 각각 장애인 화장실 있음 ● | |||
---|---|---|---|---|
장애인 화장실 출입문 유형 | 자동문 | |||
출입문 시각안내설비 | 있음(안내형태 : 시각표시) | |||
출입문 폭 / 턱 | 폭 90cm | 단차:없음 | ||
유효폭 | 대/소변기 ~ 출입문 90cm | 대/소변기~벽 157cm | ||
세정장치 | 광 감지 | 벽누름 | 바닥누름 | 기본레버● |
안전 손잡이 설치 | 대변기: 설치되어 있음● | 소변기: × | ||
비상시 사용도구 | 비상등:● | 비상호출벨: × | ||
세면대 | 높이 80cm | 높이 80cm |
※ 일반 화장실에 기저기 교환대 있음
장애인 화장실 남녀별도 사용가능 유무 | 남,녀 각각 장애인 화장실 있음 ● | |||
---|---|---|---|---|
장애인 화장실 출입문 유형 | 여닫이(바깥) | |||
출입문 시각안내설비 | 있음(안내형태 : 시각표시) | |||
출입문 폭 / 턱 | 폭 88cm | 단차:없음 | ||
유효폭 | 대/소변기 ~ 출입문 77cm | 대/소변기~벽 50cm | ||
세정장치 | 광 감지 | 벽누름 | 바닥누름 | 기본레버● |
안전 손잡이 설치 | 대변기: 설치되어 있음● | 소변기: ● | ||
비상시 사용도구 | 비상등: × | 비상호출벨: × | ||
세면대 | 높이 82cm | 하부공간: 58cm |
장애인 화장실 남녀별도 사용가능 유무 | 남,녀 각각 장애인 화장실 있음 ● | |||
---|---|---|---|---|
장애인 화장실 출입문 유형 | 여닫이(바깥) | |||
출입문 시각안내설비 | 없음 | |||
출입문 폭 / 턱 | 폭 85cm | 단차:없음 | ||
유효폭 | 대/소변기 ~ 출입문 76cm | 대/소변기~벽 40cm | ||
세정장치 | 광 감지 | 벽누름 | 바닥누름 | 기본레버● |
안전 손잡이 설치 | 대변기: 설치되어 있음● | 소변기: ● | ||
비상시 사용도구 | 비상등: × | 비상호출벨: × | ||
세면대 | 높이 82cm | 하부공간: 58cm |
장애인 화장실 남녀별도 사용가능 유무 | 남,녀 각각 장애인 화장실 있음 ● | |||
---|---|---|---|---|
장애인 화장실 출입문 유형 | 여닫이(바깥) | |||
출입문 시각안내설비 | 있음(색표시) | |||
출입문 폭 / 턱 | 폭 85cm | 턱 3도 | ||
유효폭 | 대/소변기 ~ 출입문 77cm | 대/소변기~벽 40cm | ||
세정장치 | 광 감지 | 벽누름 | 바닥누름 | 기본레버● |
안전 손잡이 설치 | 대변기: 설치되어 있음● | 소변기: ● | ||
비상시 사용도구 | 비상등: × | 비상호출벨: × | ||
세면대 | 높이 84cm | 하부공간: 59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