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힐링여행
의인 김만덕의 삶과 정신을 되돌아보며, 그녀의 나눔 정신을 배워보는 스토리텔링이 있는 관광지이다. 만덕은 막대한 부를 쌓았지만 늘 검소하게 살면서 ‘풍년에는 흉년을 생각해 절약하고, 편안하게 사는 사람은 고생하는 사람을 생각해 하늘의 은덕에 감사하며 검소하게 살아야한다’는 생활철학을 실천하며 이웃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았다. 조선시대 처음으로 부자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 여성으로 기려진다.
김만덕 기념관은 실내관광지로 계절과 날씨에 상관없이 관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건물 뒤편의 작은 공원의 흐르는 냇물에서 무더운 여름날 가족단위로 쉼을 갖는 것도 추천해본다.
김만덕
김만덕은 1739(영조) 15년 제주의 양인이었던 아버지 김응열과 어머니 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2세가 되던 해 아버지와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친척집에 잠시 의탁했다가 기녀의 수양딸로 들어가게 되었고, 김만덕 또한 제주 관기가 되어 기생의 신분이 되었다.
이러했던 김만덕이 전국적인 화제의 인물이 된 것은, 만덕이 객주를 운영하면서 제주도 물품과 육지 물품을 교역하는 유통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이루었고, 그 부를 계속되는 기근에 시달리는 제주 도민을 살려내는데 쾌척하였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정조 16년 (1792)부터 시작되어 정조 19년까지 제주지역은 계속된 흉년이었다. 지속된 흉년으로 대다수 제주 사람들이 굶주림에 허덕여 심지어 굶어죽거나 병들어 죽는 이도 수천에 이를 정도였다. 이에 조정에서도 진휼곡과 어사를 파견해 감독하기도 하였다. 제주에서도 구휼미가 모였으나 기근은 해결되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1794년 12월 1만1천 석을 싣고 오던 배들 가운데 5척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당시 57세였던 김만덕은 전 재산을 사용해 곡식을 제주로 사들였고, 450석을 관에 바쳐 제주 사람들에게 나눠 주도록 하였다. 이로써 제주 사람들의 기아 상태가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었다고 한다.
김만덕은 상업활동을 통해 부를 축척하고 이를 제주 사람들의 기아상태가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었다고 한다.
김만덕은 상업활동을 통해 부를 축척하고 이를 대흉년에 허덕이던 제주 사람들의 구휼에 기꺼이 바치는 나눔과 배풂의 정신을 실천한 여성 사업가이다.
경제의 흐름을 읽을 줄 아는 뛰어난 사업가,
애써 모은 재산의 사회 환원을 실천한 자선사업가,
시대의 벽을 뛰어넘어 중심에 우뚝 선 의인 김만덕
이동약자를 위한 안내:
김만덕기념관은 실내관광지이며 실내에 승강기가 있어서 불편함없이 관람을 하는데 에는 문제가 없다. 다만, 장애인주차장 1면이 건물 북쪽에 위치하고있는데, 주차 후 다시 건물 정문쪽으로 이동하여 관람을 시작하여야한다. 그리고, 건물 뒷쪽의 작은 공원은 실내 관람후 휴식하며 즐길 수 있다. 이동약자가 즐기기에는 계단과 노면상태를 참조하면 되겠다.
관람시간 | 09:00 – 18:00 (휴관일 : 매주월요일, 1월1일, 설날, 추석) |
---|---|
관람료 | 무료 |
보조기기 | 수동휠체어 3대, 유아차 2대 |
편의장비 | 자동심실제세동기 – 로비 1대,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 – 로비 1대 |
승강기 | 본관 실내 (1150kg / 17인 / 142*155) |
문 의 | 064-759-6090 |
주 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산지로 7 |
홈페이지 | http://www.mandukmuseum.or.kr/ |
주 차 장 | 장애인주차장 1면 (건물북쪽), 일반주차장은 주변의 산짓물 공영주차장 (제주시 건입동 1328) 이용해야한다. |
부대시설 |
#교육관 (강당, 만덕홀) |
---|
[동선거리 약 280m]
김만덕기념관 장애인주차장 시작 ~ 김만덕기념관 주출입구 정문 ~ 실내관람 ~ 기념관 후문 ~ 야외공원(금산수원지생태원) ~ 다리 ~ 물사랑홍보관 ~ 산지로 ~ 장애인주차장.
* 실내관람은 이슈가 없으나, 야외 산책시에는 노면 상태와 계단 등이 있으니 그 부분을 감안하면 좋겠다. (야외공간이 넓지않은 공간이다보니 한눈에 확인은 가능함.)
*김만덕 기념관은 실내관람은 접근성이 좋으나 야외 관광시 고르지 않은 길과 계단등이 있어 이용에 주의를 요한다.
위치 – 김만덕기념관 건물 1층
남녀구분, 경사로 m, 출입문 폭 87cm, 정면 117cm, 좌 22cm, 우 120cm
- 일반화장실 위치 김만덕기념관 1층 / 2층
* 2층 화장실에는 장애인화장실 표시가 있으나 장애인 화장실은 없음. 일반화장실만 있음.
1. 주차장
김만덕기념관의 주차장은 장애인주차장만 1면이 있고, 별도의 일반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지않다. 그리고, 보행자통행로도 없다. 일반주차장은 주변의 공영주차장을 이용해야하며, 장애인주차장은 건물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주차후 건물을 돌아서 정문(주출입구)쪽으로 이동하면 된다.
2. 주출입구
3. 체험
#해설사프로그램
상시로 진행되지만, 답사일 현재 방역문제로 진행되지않고 있다.
*해설사프로그램 사전확인필수, 진행여부를 확인하고 방문할 것을 추천한다.
#용연다리
용연은 제주시 용담동에 있는 계곡의 물이 유입되는 호수로 옛날 용의 놀이터였다는 이야기와 용이 태어난 곳이라는 전설로 붙여진 이름이며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곳이다. 그 곳을 잇는 아름다운 다리가 있는 곳
#동문재래시장
오랜 역사를 지닌 제주도를 대표하는 전통 재래시장 중 하나.
다양한 농수산과 함께 퓨전음식점들이 주목받고 있는 곳.
[관람시간 약 1시간, 동선거리 약 300m]
김만덕기념관 장애인주차장 시작 ~ 김만덕기념관 주출입구 정문 ~ 실내관람 ~ 기념관 후문 ~ 연못 ~ 다리(오르막) ~ 물사랑홍보관 ~ 산지로 ~ 주차장 끝.
1. 김만덕기념관
◎ 접근성 정보 : 경사로(11m 5도) 있음.
2. 실내
3. 기념관 후문
◎ 접근성 정보 : 경사로(3.6m 7도) 있음. 답사일 현재, 방역문제로 폐쇄.
4. 연못
5. 다리
6. 물사랑홍보관
7. 산지로 / 장애인주차장